전체 글
-
[Spring boot + Docker + Swagger3] Ubuntu 환경의 Docker 컨테이너로 Spring boot 배포하기(with Swagger3 And jar)프로젝트 노트 2024. 8. 8. 10:43
최근 우분투 환경의 도커에 외장 톰캣을 두고 war로 배포를 하고 있었습니다.Maven으로 빌드를 하여 손쉽게 War를 만들고 그를 Tomcat에 배포하며 쉽게쉽게 사용을 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에 신규 프로젝트를 하면서 내장 톰캣을 쓰기위해 jar로 빌드를 하였고, 여기서 문제에 당면하게 되었습니다.기존의 방식대로 하니 배포가 잘 되지 아니하는 것이었죠..404 Not Found가 뜨며 멘붕에 빠져있었습니다.ServletInitializer를 통해 부트 환경을 이니셜라이즈하게 만들어보려 했으나 빠르게 실패...멘붕에 빠져있다가 아예 도커 이미지로 만들어서 내장 톰캣을 도커에 띄우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Gradle의 빌드에 보면 jar와 bootJar Task가 있습니다. clean 이후 boot..
-
[Spring Boot + Gradle] 외장 톰캣에 War로 배포하기프로젝트 노트 2024. 8. 6. 12:09
내장 톰캣 이외에 외장 톰캣에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선 War로 빌드를 해야 합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5'}ext { springCloudVersion = "2023.0.2"}group = 'com.dkt.always'version = '0.0.1-SNAPSHOT'apply plugin: 'war'... build.gradle에 apply plugin: 'war'를 추가해줍니다.그러면 War로 빌드할 수 있게끔 Task가 생깁니다.이를 통해 빌드를 해줍니다.
-
Ubuntu docker 설치 명령어 모음스터디 노트 2024. 7. 25. 21:06
1. 관리자 권한 주기sudo su2. 우분투 시스템 패키지 업데이트apt-get update3. 필요한 패키지 설치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nupg-agent software-properties-common4. Docker의 공식 GPG키를 추가curl -fsSL | sudo apt-key add -5. Docker의 공식 apt 저장소를 추가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lsb_release -cs) stable"6. 시스템 패키지 업데이트apt-get update7. Docker 설치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8..
-
[Docker] Container에서 사용중인 포트 확인하기스터디 노트 2024. 6. 4. 16:15
Docker container에서 사용 중인 포트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컨테이너의 PID를 조회합니다.// 사용중인 컨테이너가 tomcat 이라면docker inspect -f '{{.State.Pid}}' tomcat>> 3584 [PID] 2. 조회된 PID를 사용해 Container를 지정하여 사용중인 포트를 확인합니다.// 조회된 PID를 활용하여 열려있는 Port를 확인>> sudo nsenter -t 3584 -n netstat -tupln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
-
[Nginx] 페이지 새로고침 시 404 Page Not Found가 뜬다면?!프로젝트 노트 2024. 5. 20. 14:37
nginx환경에서 새로고침 시 Resource 서빙이 안되는 이슈가 발생했습니다.계속해서 404, Page Not Found 오류가 발생을 하더군요..어쩜 모든 화면에서 이러지? 라고 생각을 하면서 설정이 미흡했다고 예상을 했는데, 역시 설정이 하나 누락되어 있었습니다. nginx 설정에서 conf.d 폴더 내 default.conf 파일을 확인해보니 try_files 옵션이 누락되어 있었습니다.여기서 try_files 옵션은 rewrite 기능과 비슷한데, 요청된 URL을 처리할 때 여러 파일이나 위치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존재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요청을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만약 모든 파일이나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마지막 매개변수로 지정된 동작을 수행합니다. 설정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Nginx 설치 및 Reverse Proxy 설정스터디 노트 2024. 5. 14. 16:17
nginx를 활용하여 리버스 프록시를 설정해보려고 합니다.SSL 인증서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작성한 것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nginx 설치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nginxnginx가 설치가 되고 나면 nginx -v로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본 파일 경로로는 /etc/nginx를 확인하면 됩니다. 해당 위치(/etc/nginx/)에서 conf.d 폴더 내부에 default.conf 파일에 SSL과 Proxy 설정을 해줄 수 있습니다.server { server_name [Server의 Domain 이름]; // SSL Port(443) Listen 설정 listen [::]:443 ssl; listen 443 ssl; // SS..
-
Host <-> Docker 간 파일 전송 명령어 (docker cp)스터디 노트 2024. 5. 14. 16:02
docker container와 host간의 파일 송수신을 위해선 docker의 cp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1. Host -> Container로 송신 시docker cp [host 파일 경로] [container name]:[container 내부 파일 수신 경로]// 2. Container -> Host로 송신 시docker cp [container name]:[container 파일 경로] [host 내부 파일 수신 경로]
-
Ubuntu Docker-Compose 설치프로젝트 노트 2024. 5. 14. 14:48
Ubuntu 20.04 이상 버전이 설치된 머신에서 Docker-Compose를 설치하여 간단하게 컨테이너 기반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이 내용은 먼저 Docker는 설치가 완료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작성합니다. Ubuntu 20.04 LTS에 Docker 설치하기기록용으로 우분투 환경에 Docker를 설치하는 방식을 기록합니다.// Ubuntu 20.04 LTS Version// 1. 우분투 시스템 패키지 업데이트sudo apt-get update// 2. 필요한 패키지 설치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deguruv.tistory.com설치가 되어있지 않으시다면 위 아티클을 참고 바랍니다.이후 아래 절차에 따라 설치하시면 됩니다.// docker-..